✅ Kibana, Elasticsearch 아키텍처

image.png

✅ Kibana, Elasticsearch 설치 및 실행

  1. compose.yml 파일 작성

    compose.yml

    services:
      elastic:
        image: docker.elastic.co/elasticsearch/elasticsearch:8.17.4 # 8.17.4 버전
        ports:
          - 9200:9200 # 9200번 포트에서 Elasticsearch 실행
        environment:
          # 아래 설정은 개발/테스트 환경에서 간단하게 테스트하기 위한 옵션 (운영 환경에서는 설정하면 안 됨)
          - discovery.type=single-node # 단일 노드 (지금은 알 필요 없음)
          - xpack.security.enabled=false # 보안 설정
          - xpack.security.http.ssl.enabled=false # 보안 설정
      kibana:
        image: docker.elastic.co/kibana/kibana:8.17.4 # 8.17.4 버전
        ports:
          - 5601:5601 # 5601번 포트에서 kibana 실행
        environment:
          - ELASTICSEARCH_HOSTS=http://elastic:9200 # kibana가 통신할 Elasticsearch 주소 알려주기
    
    
  2. compose 실행

    # compose.yml 파일이 존재하는 경로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시켜야 함
    $ docker compose up -d # -d : 백그라운드에서 실행
    
  3. 잘 실행됐는 지 확인하기

    Kibana는 5601번 포트에서 실행되므로 브라우저에서 http://localhost:5601로 접속해보자.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면 잘 실행된 것이다.

    image.png

✅ Kibana로 Elasticsearch 조작하기

  1. Kibana의 Dev Tools 메뉴로 들어가기

image.png

  1. Kibana로 Elasticsearch에 요청 보내보기

    image.png

<aside> 👨🏻‍🏫

Kibana를 활용해 Elasticsearch를 조작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. 그럼 다음 강의에서는 Elasticsearch의 기본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.

</aside>